서울시 여성가족패널 구축방안 연구

기본정보

  • 목록유형 기록
  • 생산자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생산일자 2017
  • 크기/분량 115p; 21cm
  • 언어 한국어

상세정보

  • 등록번호 WA3000002195
  • 내용 [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1.1. 생애주기별 접근의 필요성 1.1.2. 기존 패널자료의 한계 1.1.3. 서울시 여성가족패널의 기대효과 2. 연구내용 및 방법 3. 연구추진체계 Ⅱ. 패널자료 특징 및 선행연구 검토 1. 패널자료의 특성 2.1.1. 패널자료의 개념 2.1.2. 패널자료의 장점과 단점 2. 패널자료 및 여성 생애주기 관련 주요 선행연구 2.2.1. 패널구축에 관한 선행연구 2.2.2. 패널자료에 관한 선행연구 2.2.3. 여성의 생애주기에 관한 선행연구 Ⅲ. 국내·외 주요패널 현황 및 분석 1. 미국 PSID(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3.1.1. PSID 개요 및 표본 3.1.2. PSID 조사방식 3.1.3. PSID 조사내용 2. 영국 BHPS(British Household Panel Survey) 3.2.1. BHPS 개요 및 표본 3.2.2. BHPS 조사방식 3.2.3. BHPS 조사내용 3. 캐나다 SLID(Survey of Labour and Income Dynamics) 3.3.1. SLID 개요 및 표본 3.3.2. SLID 조사방식 및 조사내용 4. 한국노동패널(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3.4.1. 한국노동패널 개요 및 표본 3.4.2. 한국노동패널 조사방식 3.4.3. 한국노동패널 조사내용 3.4.4. 한국노동패널 패널관리 3.4.5. 한국노동패널의 서울시 여성 분석 한계점 5. 한국복지패널(Korean Welfare Panel Study) 3.5.1. 한국복지패널 개요 및 표본 3.5.2. 한국복지패널 조사방식 및 조사내용 3.5.3. 한국복지패널의 서울시 여성 분석 한계점 6. 여성가족패널(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y) 3.6.1. 여성가족패널 개요 및 표본 3.6.2. 여성가족패널 조사방식 및 조사내용 3.6.3. 여성가족패널의 서울시 여성 분석 한계점 7. 소결 Ⅳ. 서울시 여성가족패널 구축방안 1. 기본방향 2. 표본설계 4.2.1. 조사대상 4.2.2. 표본추출 3. 조사방법 및 내용 4.3.1. 조사방법 4.3.2. 조사내용 4. 서울시 여성가족패널 운영방안 4.4.1. 관리체계 4.4.2. 패널관리 5. 서울시 여성가족패널 구축비용 및 자료 관리 4.5.1. 실사비용 4.5.2. 서울시 여성가족패널 자료관리 및 기대효과 Ⅴ. 결론 1. 서울시 여성가족패널의 필요성 5.1.1. 기존 패널자료의 한계 및 서울시 여성가족패널의 필요성 5.1.2. 서울시 여성가족패널의 목적 및 조사대상자, 조사내용 2. 서울시 여성가족패널 규모와 비용 5.2.1. 서울시 여성가족패널 규모 및 유지방안 5.2.2. 서울시 여성가족패널 구축예산 추계 5.2.3. 서울시 여성가족패널 관리체계 5.2.4. 서울시 여성가족패널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기록유형 도서간행물류
  • 기록형태 임의제본물
  • 원본소장처 여기모아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