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한부모 가구의 일·가족 양립 지원방안

WA3000005338.jpg
WA3000005338-1.jpg
WA3000005338-2.jpg
WA3000005338-3.jpg

기본정보

  • 목록유형 기록
  • 생산자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생산일자 2017
  • 크기/분량 260p; 26cm
  • 언어 한국어

상세정보

  • 등록번호 WA3000005338
  • 내용 [목차]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가족의 구조적 변동과 한부모 가족 증가 2) 한부모 가족 일·가족 양립 취약성 3) 한부모 가족 특성에 기반한 일·가족 양립 지원정책 필요 2. 한부모 가족의 일·가족 양립에 관한 이론적 쟁점 1) 한부모 가족의 자녀돌봄 문제와 가족유형별 차이 2) 일·가족양립 이슈와 한부모 가족 3) 한부모 가족의 일·가족 양립에 대한 관심부재와 향후 연구 방향 3.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4.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범위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4) 과제수행체계 Ⅱ. 한부모 가족 쟁점 및 현황 1. 서울시 한부모 가족 현황 1) 한부모 가족의 규정과 범위 2) 서울시 한부모 가구 현황과 특성 2. 한부모 가족 일·가족 양립 관련 법제 및 지원정책 1) 한부모 가족 관련 법령 2) 한부모 가족 지원정책 3) 일·가족 양립 지원정책 4) 한부모 가족 일·가족 양립 정책의 한계 3. 한부모 가족 일·가족 양립 관련 해외 정책 1) 미국 2) 영국 3) 독일 4) 일본 5) 노르웨이 6) 스웨덴 7) 핀란드 8) 해외 정책의 특징 및 시사점 Ⅲ. 서울시 한부모 가족의 일과 돌봄 실태 1. 조사 개요 1) 설문조사 개요 2) FGI 개요 2. 경제상황 1) 소득 및 지출 2) 경제적 위기와 관계자원 부족 3. 직장생활 1) 직장유형과 근로형태 2) 근로시간과 휴일 3) 직장생활과 애로사항 4) 일·가족 양립 지원제도 인지 및 경험 5) 일·가족 양립 제도 사각지대의 한부모 6) 수급기준 유지, 더 나은 길 봉쇄 4. 가족돌봄 1) 미취학 자녀 2) 초등학생 자녀 3) 중·고등학생 자녀 4) 시간이 부족한 부모,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아이 5) 기타 돌봄 필요 가족 5. 자기돌봄 1) 자기돌봄이 필요할 때: 건강 적신호와 휴식 욕구 2) 여가 3) 관계망 6. 정책평가 및 요구 1) 한부모 지원제도 인지 및 경험 2) 보육지원 평가 3) 기타 한부모 가족 지원 서비스 평가 4) 한부모 지원정책 욕구 7. 요약 및 시사점 Ⅳ. 서울시 한부모 가족의 일과 돌봄을 위한 정책지원 방향 1. 정책의 기본 방향 2. 정책의 세부 과제 1) 한부모 배제 없는 일·가족 양립 지원 2) 자기돌봄과 가족돌봄의 조화 3) 자립과 상호 지지망 형성
  • 기록유형 도서간행물류
  • 기록형태 임의제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