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일자리 지원기관 사업효과성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기본정보

  • 목록유형 기록
  • 생산자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생산일자 2017
  • 크기/분량 122p; 26cm
  • 언어 한국어

상세정보

  • 등록번호 WA3000005345
  • 내용 [목차]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의 내용 2) 연구의 방법 3. 연구 추진 체계 Ⅱ. 여성일자리 지원기관 운영현황과 사례 분석 1. 서울시 여성일자리 정책과 여성일자리 지원기관의 역할 1) 중앙정부 여성일자리 정책 2) 서울시 여성일자리 지원정책 2. 여성일자리 지원기관의 설립과 현황 1) 여성일자리 지원기관의 설립 및 제도화 2) 설치 및 운영 구조와 근거법령 3) 서울시 여성일자리 지원기관 운영 현황 3. 선행연구 분석과 시사점 Ⅲ. 서울시 여성일자리 지원기관 사업효과성 분석 1. 여성일자리 지원기관 사업효과성 분석 방법 1) 효과성 분석모형 구축 2) 사업효과성 분석모형과 분석준거 제시 2. 여성일자리 지원기관 사업효과성 분석 결과 1) 여성일자리 지원효과 2) 여성일자리 확장효과 3) 여성일자리 지지효과 4) 시사점 3. 여성일자리 사업운영 실태 조사 결과 1) 실태조사 방법 2) 실태조사 결과 3) 시사점 Ⅳ. 서울시 여성일자리 지원기관 사업 개선방안 1. 정책 수요와 개선방향 도출 1) 사업효과성 분석에 따른 개선방향 2) 여성구직자 직업훈련 수요 3) 전문가 의견조사 2. 서울시 여성일자리 지원기관 개선방안 제시 1) 여성정책 수행기관 특성화 및 기능강화 2) 서울시 시민소통망을 활용한 통합적인 홍보 3. 서울시 여성일자리 지원정책 개선방향 1) 고용지원 서비스체계 및 여성일자리 지원정책 추진체계와 연계 2) 데이터 기반 컨설팅 및 사업개발 필요 3) 서울시 일자리 지원기관 간 협업을 통한 직종 개발 및 일자리 창출 4) 총괄 및 지원 기능 강화
  • 기록유형 도서간행물류
  • 기록형태 임의제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