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증자료 모아

  • 중분류 > 대상별
  • 소분류 > 여성
  • 기록형태 > 정기간행물

검색결과 917건

보기:
  • 가정상담 2008년 4월호 통권 296호 가정상담 2008년 4월호 통권 296호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소식지 296호. 수록된 기사로 '한국가정법류상담소 회관 신축기념식', '2007(51차년도) 상담통계 - 양육비 관련, 경제갈등으로 인한 이혼 상담 증가', '가정폭력상담실-둥지교실 강의',…
  • 가정상담 2008년 3월호 통권 295호 가정상담 2008년 3월호 통권 295호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소식지 295호. 수록된 기사로 '1956~2006(50년) 상담통계 - Ⅱ - 2000년대 들어 경제갈등과 관련한 상담 증가 노년 이혼 증가 양상', '가정폭력상담실-행위자 상담 사례보고',…
  • 가정상담 2008년 1월호 통권 293호 가정상담 2008년 1월호 통권 293호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소식지 293호. 수록된 기사로 '특집-한국가정법률상담소 회관 완공' , '이태영 선생님 9주기 추모예배', '2008년 상담소-가족복리를 위한 법적 지원 확대의 해', '특집2-부모폭력과 자녀의…
  • 가정상담 2005년 1월호 통권 257호? 가정상담 2005년 1월호 통권 257호?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소식지 257호. 수록된 기사로 '특집-이태영 선생님 육주기' , '호주제 폐지 헌재 최종 변론 - 호주제 폐지는 민주화의 마무리이며 시대적 당위입니다', '부부재산제 개정 ① -별산제와…
  • 가정상담 2004년 12월호 통권 256호 가정상담 2004년 12월호 통권 256호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소식지 256호. 수록된 기사로 '부부재산제 개정 ①-부부의 경제적 평등을 위한 부부제산제 개선','민법개정안에 개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공청회', '가정폭력상담실-제9회 나, 너, 그리고 우리…
  • 가정상담 2004년 11월호 통권 255호 가정상담 2004년 11월호 통권 255호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소식지 255호. 수록된 기사로 '이혼제도 개선-이혼숙려 도임과 이혼 전 상담제도 의무화', '가정폭력상담실-행위자 상담 사례 보고', '인터넷 상담' 등이 있음
  • 가정상담 2004년 10월호 통권 254호 가정상담 2004년 10월호 통권 254호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소식지 254호. 수록된 기사로 '국회에 호주제 폐지 민법개정안 통과를 촉구하는 편지를 보냅시다(캠페인)', '가정폭력상담 현황-개별상담에서 부부캠프까지, 다양한 프로그램 통해 가정폭력에 대처',…
  • 가정상담 2004년 9월호 통권 253호 가정상담 2004년 9월호 통권 253호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소식지 253호. 수록된 기사로 '양육비선급에 관한 주용한 제안','호주제폐지에 관한 국회의원 입장조사', '번민하는 이웃과 함께 법률구조', '호주제 폐지 및 민법개정안 통과를 위한 다양한 활동…
  • 가정상담 2003년 12월호 통권 244호 가정상담 2003년 12월호 통권 244호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소식지 244호. 수록된 기사로 '여성음주문제 심포지엄-여성의 알코올 중독, 무엇이 문제인가?','호주제에 관한 논의자료', '소식-호주제폐지운동' 등이 있음
  • 가정상담 2003년 11월호 통권 243호 가정상담 2003년 11월호 통권 243호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소식지 243호. 수록된 기사로 '여성음주-여성음주자의 특성과 음주의 원인','호주제 폐지 이제 국회통과만 남았다', '제12차 가정폭력 행위자 공감적 집단 상담 보고서 - 가정폭력이 자녀에게…
  • 가정상담 2003년 10월호 통권 242호 가정상담 2003년 10월호 통권 242호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소식지 242호. 수록된 기사로 '비혼모 가정의 법적 권리와 복리','호주 폐지 평등가족실현 시민 한마당', '인터넷 상담' 등이 있음
  • 가정상담 2003년 8월호 통권 240호 가정상담 2003년 8월호 통권 240호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소식지 240호. 수록된 기사로 '고령사회와 여성노인의 삶의 질 Ⅱ - 여성노인의 생활실태와 복지정책','가정폭력상담실-제4차-나,너, 그리고 우리-행복찾기 부부캠프를 마치고', '인터넷 상담'…
  • 가정상담 2002년 7월호 통권 227호 가정상담 2002년 7월호 통권 227호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소식지 227호. 수록된 기사로 '2/4분기 상담통계 분석-가정폭력범죄에 대한 경찰의 소극적 태도나 수사과정에서의 문제점 개선되어야', '호주제 폐지를 향하여 (25)-우리, 평등하게 살래?!',…
  • 가정상담 2002년 2월호 통권 222호 가정상담 2002년 2월호 통권 222호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소식지 222호. 수록된 기사로 '민법개정안 공청화-친양자제도를 중심으로', '호주제 폐지를 향하여 (22)-호폐연 2002년 첫 모임', '가정폭력 행위자 상담실 (23)' 등이 있음?
  • 교회와 세계 1984년 9월호 교회와 세계 1984년 9월호 교회와 세계 1984년 9월호 스크랩임. 한국교회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교회 여성운동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논함
  • 한국에마음을보내는여성모임 소식지 한국에마음을보내는여성모임 소식지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회보 인권소식 1986년 8월 7일 제210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회보 인권소식 1986년 8월 7일 제210호 1986년 8월 7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소식 제210호임. 부천경찰서성고문사건 및 민주화운동에 관한 내용 다수임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1986년 회보 인권소식 스크랩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1986년 회보 인권소식 스크랩 1986년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소식 중 부천경찰서성고문사건 관련 기사 스크랩임. 부천경찰서성고문사건 및 민주화운동에 관한 내용 다수임
  • 정정헌 37. 여성, 어디로 가는가 정정헌 37. 여성, 어디로 가는가 성균관대학교 여성주의 교지 貞靜軒 서른일곱번째 37호 2015년.

    [목차]
    37호를 시작하며

    1부 _ 여성혐오 뛰어넘기

    2부 _ 그 많던 여성들은 어디로 갔을까
    대학에서 취직까지
    취직 이후 여성의 삶
  • 정정헌 34. (대학에서 박근혜에게) 여성, 그리고 여성주의를 말하다 정정헌 34. (대학에서 박근혜에게) 여성, 그리고 여성주의를 말하다 성균관대학교 여성주의 교지 貞靜軒 서른네번째 34호 2013년.

    [목차]
    목차
    34호를 시작하며

    1부_ 박근혜에게 여성을 말하다
    여성대통령 그녀?
    박근혜 여성정책에 여성의 삶은 없다
    엄마가산점, 넌 뭐냐?
    제…
  • 정정헌 33. 未生 :온전히 살지 못 하는 자 정정헌 33. 未生 :온전히 살지 못 하는 자 성균관대학교 여성주의 교지 貞靜軒 서른세번째 33호 2012년.

    [목차]
    그녀의 이름은 정정헌
    33호 교지 소개

    Bridge01_ 입학
    주님, 오늘만은 자유로운 밤길이 되게 해주세요
    Bridge02_…
  • 정정헌 38. 페미니즘이라는 선물: 여성혐오사회 함께 살아가기 정정헌 38. 페미니즘이라는 선물: 여성혐오사회 함께 살아가기 성균관대학교 여성주의 교지 貞靜軒 서른여덟번째 38호 2016년.

    [목차]
    시작하며

    Ⅰ 여성혐오 논쟁을 넘어서
    ‘여성혐오’라는 분석이 한 것과 하지 못한 것

    Ⅱ 우리 사회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첫 번째 _…
  • 정정헌 36. 정정헌, 꽃이 되자 정정헌 36. 정정헌, 꽃이 되자 성균관대학교 여성주의 교지 貞靜軒 서른여섯번째 36호 2014년.

    [목차]
    36호를 시작하며

    1부_ 남녀평등시대, 여남은 평등한가
    남녀평등시대, 여남은 평등한가
    인터뷰: 연애
    인터뷰: 결혼
    남녀평등시대, 같지…
  • 정정헌 35. 여성주의의 오만과 여성혐오란 편견을 넘어 정정헌 35. 여성주의의 오만과 여성혐오란 편견을 넘어 성균관대학교 여성주의 교지 貞靜軒 서른다섯번째 35호 2014년.

    [목차]
    35를 시작하며

    1부_편견을 넘어 : 여성혐오시대, 여성주의는 무엇을 할 것인가?
    대담회 소개글
    정정헌 발제문
    여학생위원회…